냥념꽃개장

아이에게 쉽게 설명하기 -화폐편(현용은행권) 본문

쉬운 경제_쉽게 설명

아이에게 쉽게 설명하기 -화폐편(현용은행권)

story_oklm 2023. 4. 5. 00:17

엊저녁 아이가 한국은행에서 만든 지폐는 어디로 가?? 라고 물어봤다.

아주 좋은 질문~~~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돈은  국가에서 발행하고 있는 지폐와 동전이다. 지폐는 종이로 만들어져있고,

국가에서 정한 디자인과 액자가 있다.

지폐는 특정한 가치를 나타내며 현용은행권은 오만원권, 만원권, 오천원권, 천원권이 있다. 화폐 도안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는 저작물로 이용기준 위반시 저작권법에 의해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이나 이를 병과하는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출처 : 한국은행 현용은행권 "오만원권"

 

출처 : 한국은행 현용은행권"만원권"
출처 : 한국은행 현용은행권"오천원권"
출처 : 한국은행 현용은행권"천원권"

화폐는 중앙은행에서 생산되며, 중앙은행은 국가의 재정정책을 수행하고 통화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지폐를 생산하기 위해선 많은 과정이 필요하다. 

먼저, 디자인과 액자를 결정하고 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기와 잉크가 있어야 하며, 인쇄된 지폐는 중앙은행에서 검수를 거쳐 발행하게 된다.

발행된 지폐는 은행을 통해 일반시민들에게 보급된다. 은행은 입출금이 이루어지고, 대출 등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은행은 중앙은행과 시민들 사이의 중개자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은행에서 받은 지폐를 사용하여 물건을 사고 서비스를 받는다. 

 

출처 : 한국은행 화폐이야기

 


돈 깨끗이 쓰기

 

돈을 깨끗하게 쓰면 돈의 유통수명이 늘어나 새로운 돈을 만드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절감된다. 또, 자원의 절약에도 도움이 되고, 궁극적으로 국민경제의 효율성을 제고 할 수 있다. 

 

*유통수명(2022년 추정 결과) 5만원권 181개월, 만원권 135개월, 5천원권 63개월, 천원권 70개월

 

화폐 폐기 규모

 

2022년 중 훼손되거나 더러워져 폐기한 화폐는 4억 1300만 장으로 그 금액은 2조 6,414억원에 달한다. 폐기된 화폐를
낱장으로 길게 이으면 총 길이가 52,418Km로 경부고속도로를 약 63회 왕복한 거리이며, 쌓을 경우 높이가 130Km로 
롯데월드타워의 233배, 백두산의 47배,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 산의 15배 수준에 이른다.

 

출처 : 한국은행 화폐폐기 규모

새 화폐를 만드는 비용에는 연간 약1,100억원(2018~2022년 평균)이 드는데 새화폐 제조비용은 궁극적으로 국민경제에 부담이 된다. 

 

"돈을 소중히 다루기" 실천사항

  • 은행권을 지갑에 넣어서 휴대하기
  • 은행권을 꼬깃꼬깃 접거나 구기지 않기
  • 은행권에 메모하거나 낙서하지 않기
  • 관광지 분수대에 등에 동전을 던지는 행동 삼가하기
  • 냄새 제거를 위해 동전을 냉장고에 넣어두거나 난로위에 올려 놓지 말기
  • 저금통에 모아 둔 동전을 금융기관에 예금하거나 은행권으로 교환하기

 

한국은행에서는 찢어지거나 더러워진 은행권, 불에 탄 은행권, 찌그러진 동전 등 다시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돈을 깨끗한 돈으로 교환해주고 있다.